알림 2019-12-23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법률개정안에 대한 시민사회 의견 - 국회는 디엔에이법의 인권침해 요소 일소를 위해 헌법불합치 관련 법률개정안들을 신중 심의해야 2019. 12. 23.… 정보인권연구소
알림 2019-12-17 본회의 부의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안(법사위 대안) 시민사회 반대의견서 - 수사기관의 통신사실확인자료 오남용 및 정보기관 감청을 통제해야 한다는 헌법불합치 결정 전혀 반영되지 않은 졸속심의… 정보인권연구소
교육/자료 2019-12-07 [정보인권포럼] 머신러닝 알고리즘과 차별 차별적 사회를 학습한 인공지능 의사결정이 차별적이지 않을수 있을까요? 우리 사회에서 차별금지법 제정은 오랜 진통을… 정보인권연구소
연구보고서 2019-11-27 국가 정보보안을 위한 대안 법안 연구보고서 발간 국가_정보보안을_위한_대안_법안_연구_보고서 2019년 11월 사단법인 정보인권연구소는 <국가 정보보안을 위한 대안 법안 연구보고서>를 발간하였습니다 현재 우리나라 국가… 정보인권연구소
교육/자료 2019-10-23 [입법토론회] 헌법불합치 디엔에이법의 개선, 어떻게 할 것인가? 지난 2018년 8월 30일, 헌법재판소는 「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」(약칭 디엔에이법) 제8조에 헌법불합치… 정보인권연구소
교육/자료 2019-09-21 인공지능 거버넌스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통제와 바람직한 거버넌스에 대하여 고민을 시작할 때입니다. 2019. 9. 6. "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… 정보인권연구소
교육/자료 2019-09-16 [입법토론회] 헌법불합치 통신비밀보호법의 개선 쟁점과 방향 2018년 통신비밀보호법에 대한 세 건의 헌법불합치 결정이 있었습니다. 기지국수사, 실시간 위치추적, 인터넷회선(패킷)감청 사건들에 대한 결정에서… 정보인권연구소
교육/자료 2019-08-28 [공개토론회] 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통제, 어떻게 할 것인가 공개토론회 「인공지능에 대한 사회적 통제, 어떻게 할 것인가」 - 오는 9월 6일(금) 오후3시, 국가인권위원회… 정보인권연구소
알림 2019-08-26 [시민사회 공동논평] 통신비밀보호법 개정안에 대한 인권위의 당연한 권고, 이제는 국회가 응답할 차례 – 정보‧수사기관의 권한 남용을 예방‧통제하는 방향으로 통비법 개정해야 – 변화된 정보통신환경에 맞는 엄격한 규율과 요건… 정보인권연구소
연구보고서 2019-07-23 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 및 개선 방향 「디엔에이신원확인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」(디엔에이법)은 본래 중범죄자의 재범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0년 제정되었습니다. 그러나… 정보인권연구소
교육/자료 2019-07-05 2019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(KrIGF) “지속 가능한 인터넷, 함께하는 거버넌스” 개최 다자간인터넷거버넌스협의회(KIGA)가 주최하고 인터넷 관련 공공기관, 시민단체, 학계, 기업, 기술 커뮤니티가 공동 주관하는 “2019 한국인터넷거버넌스포럼(KrIGF)”이 오는… 정보인권연구소
교육/자료 2019-04-11 [정보인권포럼] 블록체인과 개인정보 보호 최근 스마트도시 등 많은 사회서비스에 블록체인이 적용되고 있거나 적용될 예정입니다. 블록체인은 탈중앙 분산화와 투명한… 정보인권연구소
연구보고서 2019-02-08 4차산업혁명시대에서 정보인권보호를위한 실태조사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정보인권을 어떻게 보호해야 할까요? 최근 국제사회는 이 문제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다양하게… 정보인권연구소
교육/자료 2019-01-30 [정보인권포럼] 문제해결의 또다른 대안, 블록체인 대안적인 사회문제 해결방식을 고민하는 많은 이들이 블록체인 기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 우리 사회에서 이 기술은… 정보인권연구소
교육/자료 2018-12-11 [정보인권포럼] 정동과 자본 디지털 플랫폼 경제의 특징은 '정동 자본주의'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. 페이스북과 유튜브와 같은 플랫폼 기업들은… 정보인권연구소